반응형 창세기27 요셉의 꿈 요셉의 꿈 (창 37:1~11) 오늘의 본문으로 창세기 족장사의 마지막 인물인 요셉이 등장합니다. 요셉과 그의 형제들의 이야기는 아브라함과 이삭과 야곱의 서사와 조금 다른 형태로의 서사가 이어집니다. 아브라함부터 야곱까지는 하나님께서 아브라함과 맺으신 그 언약의 형태가 어떻게 보존되고 계승되어가는지에 대하여 포커스가 맞춰져 있었다면, 요셉의 이야기는 이스라엘이 한 민족으로 태동되는 과정에 포커스를 맞추고 있습니다. 만약에 창세기의 저자가 언약의 계승에 대해서만 포커스를 맞추었다면, 아마 야곱 다음으로 야곱의 넷째 아들인 유다를 등장시켰을 것입니다. 하지만 37장부터 50장까지의 긴 서사의 주인공은 바로 요셉이라는 인물입니다. 요셉과 그 형제들의 이야기는 굉장히 긴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족장사로 분류했을.. 2022. 10. 21. 에서 후손의 계보 에서 후손의 계보 (창 36:1~43) 오늘의 본문은 에서 후손의 계보가 기록된 본문입니다. 창세기에서는 오늘 특별히 36장 전체를 에서에 관한 이야기들로만 기술하고 있는 것을 보게 되는데요. 왜 창세기에서는 이렇게 긴 43구절의 지면을 할애하여 에서의 이야기를 하고 있을까요? 아브라함과 이삭과 야곱의 혈통으로 이루어진 하나님의 언약 백성들을 향한 말씀을 풀어내기도 부족할 텐데 하나님과 언약을 맺은 이들에 포커스를 맞춘 서사를 풀어내다가, 갑자기 에서의 이야기가 길게 등장합니다. 그 이유는 35장에서 찾을 수 있습니다. 35장은 토요일과 주일의 본문이었는데요. 짧게 설명드리자면 35장에서는 하나님께서 야곱을 다시 한번 부르시는 구절로 시작합니다. 35장 1절에는 이렇게 기록되어 있죠. 하나님이 야곱에게 .. 2022. 10. 17. 분노 조절 장애 분노 조절 장애 (창 34:18~31) 어제 본문을 통해서 야곱의 딸 디나가 강간을 당하고 야곱의 아들들이 그들에게 복수할 치밀한 계획을 세웠음을 보게 되었습니다. 그 조건이 바로 할례였죠. 할례는 이스라엘 백성들에게, 아직은 민족으로서의 이스라엘은 아니었지만 아브라함으로부터 하나님께서 명하신 언약 백성의 증표였습니다. 할례를 받은 이들은 하나님의 백성임을 자각하게 되고 하나님의 뜻을 따라 살아야 함을 기억하게 만드는 표징이었죠. 하지만 다나의 소식을 들은 야곱의 아들들은 하나님으로부터 부여받은 이 할례의 언약을 복수의 수단으로 사용하였습니다. 야곱과 그의 아들들이 겪은 분노가 얼마나 큰지 직접적으로 가늠할 수는 없지만, 간접적으로나마 나의 자매가 혹은 나의 딸이 이와 같은 수치를 당했다면, 정말 이성의.. 2022. 10. 14. 야곱에서 이스라엘로 야곱에서 이스라엘로 (창 32:21~32) 오늘의 본문은 야곱의 인생에서의 큰 전환점을 맞이하는 아주 중요한 포인트가 되는 본문입니다. 오늘의 포인트를 기점으로 이름이 변하기 전의 야곱과, 이스라엘로 이름이 변한 이후의 인생으로 나뉘어진다고 볼 수도 있습니다. 32장 초반부의 말씀을 보면 라반과 작별을 하고 고향 땅을 향하여 가는길에 하나님의 사자들을 만나는 장면이 등장합니다. 그리고 야곱은 하나님의 사자들을 하나님의 군대 라고 부르며 그들이 서 있던 땅의 이름을 마하나임 이라고 부릅니다. 마하나임 뜻이 진영, 혹은 진지를 뜻합니다. 우리가 자주 쓰는 용어는 아니지만 군대에서 많이 쓰는 단어입니다. 전쟁을 할 때 군인들이 머무는 장소를 진영이라고 부르죠. 야곱이 하나님의 천사들을 보고 그 땅의 이름을 마.. 2022. 10. 10. 라반과 야곱의 언약 라반과의 언약 (창 31:43~55) 31장을 20절을 살펴보면 야곱은 라반이 양털을 깎으러 간 사이 방심한 틈을 타서 야반도주를 합니다. 쉬운 일은 아니었겠죠. 함께 나가는 식솔만 해도 수십명이었을 것이고, 그동안 얻은 재물들도 상당한 양이 되었을 것이기 때문에 양과 염소뿐만 아니라 그들을 관리하는 일꾼들도 함께 길을 떠났을 것입니다. 오늘의 본문인 43절을 보면 왜 야곱이 라반의 낯을 피하여 몰래 도주하였는지를 알수 있습니다. 본문을 보면 라반은 여전히 딸들은 내 딸이고, 아이들도 나의 손자 손녀들이다. 양 떼도 내 양 떼며 너가 보고 있는 모든 것들이 다 자신의 소유임을 말하고 있죠. 물론 말미에는 그러니 내가 너를 어떻게 하겠는가? 내가 너를 사로잡아서 다시 데리고 가겠느냐? 라고 묻고 있지만 라.. 2022. 10. 7. 아브라함과 이삭과 야곱 그리고 나 아브라함과 이삭과 야곱 그리고 나 (창 30:25~43) 야곱은 레아와 라헬과 또 그들의 여종인 실바와 빌하를 통해서 12명의 자녀를 낳습니다. 이 야곱의 모든 자녀들이 열두지파가 되는 것은 아니고요. 열두 지파에서 빠진 인원이 있습니다. 바로 레위지파는 하나님을 기업으로 삼기 때문에 빠지게 되고요. 또 딸이었던 디나도 아들이 아니었기 때문에 지파로 들어가지는 않습니다. 나중에 야곱이 본향으로 귀환하던 중에 낳은 라헬의 막내아들 베냐민과 요셉의 아들인 에브라임과 므낫세를 통해서 이스라엘의 열두 지파를 이루게 되죠. 본향으로 돌아가기 전까지 그래도 열 한명의 아들과 한 명의 딸을 낳게 됩니다. 이제 이들로 하여금 이스라엘 민족이 세워지는 놀라운 하나님의 섭리가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죠. 오늘의 본문을 보면 .. 2022. 10. 2. 이전 1 2 3 4 5 다음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