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회개6

시편6편 시편 6편 이 시편 6편은 시편에서 제일 먼저 나오는 참회의 시로 알려져 있습니다. 참회라는 말은 후회하고 괴로워함을 의미하고 또 자기의 잘못에 대해서 깨닫고 깊이 뉘우침을 의미합니다. 곧 다윗이 이 시편을 참회하는 마음으로 기록했다는 것은 자신의 잘못된 행동에 대해서 후회하고 뉘우치기 위하여 기록했다는 것을 유추할 수 있죠. 본래 이 참회라는 단어는 사실 기독교 용어는 아닙니다. 보통 불교에서 자신의 죄를 깨닫고 뉘우칠 때 참회라는 단어를 많이 쓰고요. 우리에게는 회개라는 단어가 좀 더 맞는 단어입니다. 이 회개는 뉘우칠 회자에 고칠개 자를 쓰는데요. 회개는 이전에 잘못된 삶을 뉘우치고 돌이켜 그 마음을 고치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 시편 6편을 이해하는데 있어서 가장 중요한 점은 다윗이 하나님의 진노 .. 2024. 4. 23.
이방인의 사도 바울 이방인의 사도 바울 사도행전 22:17~29 찬송가 292 주 없이 살 수 없네 우리가 어제의 본문을 통해서 보았듯이 바울이 다메섹 도상에서 주 예수 그리스도를 만나게 된 간증을 유대인들에게 전했던 본문을 보았습니다. 그리고 계속해서 오늘의 본문 또한 바울의 간증이 기록된 본문입니다. 오늘의 본문은 16절에 바울이 아나니아를 만나서 이제 주저하지 말고 일어나 침례를 받고 죄씻음을 받으라는 명령을 받고 난 이후의 내용입니다. 주저하지 말고 일어나 침례를 받고 죄씻음을 받으라는 명령은 새사람을 입으라는 명령입니다. 이제 예전의 신념과 가치관을 버리고 부활의 주를 증거하기 위한 사도로 부름을 받았다는 확신을 가진 바울은 예루살렘으로 돌아와서 깊은 기도의 시간을 가집니다. 그때 환상중에 말씀하시는 주님의 음성을.. 2023. 8. 16.
어리석은 사울 어리석은 사울 (삼상 14:24~35) 어제의 본문의 마지막이 23절로 이렇게 마무리 되었는데요. 여호와께서 그 날에 이스라엘을 구원하시므로 전쟁이 벧아웬을 지나니라. 사울의 어리석은 행동에도 불구하고, 하나님께서는 이스라엘을 구원하시는 일을 이루셨습니다. 하나님의 표징을 받은 요나단은 블레셋을 기습하였습니다. 무리 요나단이 젊고 용맹하다고 할지라도, 그 두 사람의 기습으로는 많은 블레셋 군인들을 다 처치하지는 못하였을 것입니다. 하지만 하나님께서 그 땅을 진동하셨기에 블레셋 사람들은 공포에 떨었으며 적군과 아군을 구분하지 못하고 서로를 칼로 죽이는 행동을 보였습니다. 그리고 히브리 사람들이 다시 힘을 모아서 블레셋 사람들을 추격하였던 것이죠. 그리고 여호와께서 그날에 이스라엘을 구원하셨다고 하신 말씀이.. 2023. 2. 17.
우리가 여호와께 범죄하였나이다 우리가 여호와께 범죄하였나이다 (삼상 7:1~11) 하나님은 용서와 회복의 하나님이십니다. 제가 비교종교학을 전공하지 않아서 정확하게 알지는 못하지만, 신과 교통하는 신앙을 가진 종교 중에서 하나님만큼 많이 용서하시는 신이 있을까? 라는 생각이 듭니다. 오늘의 본문은 회개하고 하나님께로 돌이키자 그들을 용서하시고 회복시키시는 장면이 기록된 본문입니다. 벧세메스로 하나님의 언약궤가 돌아왔지만 그들의 교만함과 영적인 어두움으로 인하여 하나님의 진노가 임하자 그 언약궤를 기럇여아림으로 보내버립니다. 이 기럇여아림은 ‘숲의 성읍’ 이라는 이름을 가진 성읍이었습니다. 학자들은 기럇여아림이 가진 지정학적 위치 때문에 언약궤를 그쪽으로 옮겼을 것이라고 생각하는데요. 벧세메스나 기럇여아림이나 이 두 지역 다 블레셋의 .. 2023. 2. 3.
다툼이 어디로부터 나느냐? 다툼이 어디로부터 나느냐 (약 4:1~10) 야고보는 오늘의 본문을 통해서 교회 공동체 안에 있었던 싸움과 다툼의 원인을 파악하고 그에 대한 답변을 이루고 있음을 보게 됩니다. 먼저 야고보는 신자들 간의 분쟁의 원인이 정욕에 있다는 것을 지적하고 있는데요. 1절에는 이렇게 기록되어 있죠. 너희 중에 싸움이 어디로부터 다툼이 어디로부터 나느냐 너희 지체 중에서 싸우는 정욕으로부터 나는 것이 아니냐 1절 말씀에 보면 싸움과 다툼 두 가지 단어가 등장하는데요. 싸움은 직역하면 전쟁들 이고 다툼은 싸움들입니다. 야고보는 1절 본문을 통해서 교회 공동체 안에서 일어난 이 다툼을 단순한 언쟁이나, 감정 소모 정도로 보는 것이 아니라 너희가 지금 하고 있는 것은 전쟁을 치르는 것이다. 라고 말하고 있는 것이죠. 이는.. 2023. 1. 6.
에스라의 종교개혁 에스라의 종교개혁 (스10:16~44) 오늘의 본문은 에스라가 족장들을 세워서 이방 혼인을 한 이들의 숫자를 계수하고 파악한 명단이 기록된 본문입니다. 에스라 10장의 말씀을 통해 볼 때 학자들은 에스라가 종교개혁의 수준으로 강경하게 이 일을 해나간 것으로 주장하고 있습니다. 어제의 본문인 8절에 말씀에는 이렇게 기록되어 있습니다. 누구든지 방백들과 장로들의 훈시를 따라 삼 일 내에 오지 아니하면 그의 재산을 적몰하고 사로잡혔던 자의 모임에서 쫓아내리라 하매 백성의 책임자들이 백성들을 불러모아서 모임에 나타나지 아니하면 재산을 몰수하고 이 민족에서 쫓겨날 것이라고 말합니다. 이러한 상황으로 미루어보아 에스라를 비롯한 민족의 지도자들이 이 상황이 얼마나 절박하고 급박한 상황으로 인식했는지를 알 수 있습니다.. 2022. 8. 27.
728x90
반응형